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 발생하는 일 – 슬기로운 신고 2024

종합소득세란 개인이 1년간 경제활동으로 얻은 모든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다.

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

근로소득, 사업소득, 연금소득, 이자소득, 배당소득, 기타소득 등 6가지 소득을 합산하여 과세하는 제도를 말한다.

이 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 발생하는 일, 신고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.

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 발생하는 일

종합소득세 신고기한인 5월 31일이 지나면 기한 후 신고를 해야 한다. 기한 후 신고 시에는 가산세가 부과된다는 점 명심해야 한다.

1. 가산세 부과 기준

  • 무신고 가산세: 산출세액의 20%
  • 지급기한 후 1개월 이내 신고 시: 무신고 가산세의 1/2 감면
  • 지급기한 후 6개월 이내 신고 시: 무신고 가산세의 1/3 감면

2. 기한 후 신고 방법

  • 홈택스에 접속하여 ‘기한 후 신고’ 버튼을 클릭하면 신고 가능
  • 모바일 앱(손택스)에서도 ‘기한 후 신고’ 메뉴를 통해 가능
  • 세무서 방문하여 서면으로 신고 가능
  • 신고일로부터 5년 이내라면 환급 가능

종합소득세 신고기한을 넘겨 가산세를 추가로 부과하지않기 위해, 가능한 한 기한 내 신고를 해야 하겠다.

3. 종합소득세 신고 기한

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은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이다.

단, 신고기한이 토요일이나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 날로 연기된다.

4. 자주 묻는 질문

신고 기한이 지나면 환급이 불과한가요.

아니오. 종합소득세 신고 기한이 지나도 환급은 가능하다. 다만, 기한 후 신고를 해야 하며, 가산세가 부과된다.

위 2. 항에서 기한후 신고 방법이 나열되어 있다.

하지만, 신고가 지체될 수록 가산세 부담이 커지므로 가능한 한 빨리 신고하는 것이 유리한 점 잊지 말자.

신고 기한이 지나면 세무서에 신고하지 않아도 되나요.

아니오. 종합소득세 신고 기한이 지나면 반드시 세무서에 연락하여 기한 후 신고를 해야 한다.

>> 종합소득세 신고하러 가기

5. 최신 인기글 바로 보기

MZ 식집사 반려식물 인기 순위 BEST 10